#전방위 엔지니어
기존의 풀스택 엔지니어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스택 내에서 개발하는 반면, 전방위 엔지니어는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 클라우드 인프라, 심지어 AI 모델 통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시스템 스택 전체를 이해하고 연결합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간소화하며, 복잡한 시스템 간 조율이 필요한 '전방위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도합니다. 이 역할은 특정 기술 도메인에 특화하기보다는 전반적인 시스템 아키텍처와 통합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아티클
시간순
최신순
아티클
아티클 2개
개발형 개발과 리팩토링 주도 테스트
2025년 8월 19일
이 글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개발형 개발'과 '리팩토링 주도 테스트'를 제시합니다. 먼저, 개발이란 단순히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설계도나 주형을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설계도는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동일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합니다. 개인의 능력 개발이나 사회 개발 등 다양한 맥락...
더 보기
리퀴드웨어 시대의 전방위 엔지니어
2025년 7월 28일
본 기사는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리퀴드웨어’와 ‘전방위 엔지니어’의 개념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논의합니다. 먼저, 생성형 AI가 프로그램 생성에 능숙해짐에 따라, 코드 작성 자체는 AI가 담당하고 인간은 지시와 검증에 집중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더 보기